사대보험 계산기, 연봉별 실수령액 비교 (표 포함)



월급날만 기다렸는데 통장에 찍힌 금액을 보고 ‘어? 이게 다가 아닌데?’ 싶었던 적,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분명 내 연봉은 이것보다 훨씬 높은데, 세금이니 뭐니 빠져나간 공제액을 보면 한숨부터 나옵니다. 대체 내 월급에서 얼마나, 왜 빠져나가는 건지 매번 헷갈리기만 합니다. 월급명세서를 봐도 어려운 용어들뿐이라 머리만 아파오고요. 이제 더 이상 답답해하지 마세요. 이 글 하나로 사대보험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 내 진짜 월급, 실수령액을 1분 만에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내 월급 미스터리 해결 3줄 요약

  •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돈의 정체는 바로 사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과 소득세, 지방소득세입니다.
  • 사대보험 계산기를 이용하면 복잡한 보험료율을 직접 계산할 필요 없이 연봉에 따른 월 실수령액을 간편하게 모의계산할 수 있습니다.
  • 연봉, 비과세 소득(식대 등), 부양가족 수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정보를 입력해야 내 실수령액과 가까운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대보험,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회사에 다니는 직장가입자라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4가지 사회보험을 말합니다. 나와 내 가족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 보장 제도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산재보험료는 사업주가 전액 부담하며, 나머지 3개 보험료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정해진 부담금 비율에 따라 나누어 냅니다. 매달 월급에서 이 공제액을 원천징수하고 남은 금액이 우리가 실제로 받는 실수령액이 되는 것이죠.



네 가지 사회보험 역할과 요율

각 보험은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보험료율 또한 다릅니다. 이 요율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국민연금: 노령, 장애, 사망 등의 위험에 대비하여 연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기준소득월액의 9%를 내며,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 건강보험: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액의 진료비 부담을 덜어주는 보험입니다. 보수월액의 일정 비율을 내며, 근로자와 사업주가 절반씩 부담합니다. 여기에 건강보험료의 일정 비율로 장기요양보험료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 고용보험: 실직했을 때 실업급여를 지급하고, 재취업 활동을 지원하는 보험입니다. 근로자는 보수월액의 일정 요율을 부담하며, 사업주는 근로자 부담금 외에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보험료를 추가로 냅니다.
  • 산재보험: 업무상 재해를 입었을 때 치료비와 보상을 해주는 보험입니다. 업종별로 요율이 다르며, 전액 사업주가 부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대보험 계산기 스마트하게 활용하기

매번 바뀌는 요율표를 찾아보고 직접 계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습니다. 이럴 때 사대보험 계산기를 사용하면 연봉이나 월급 정보만 입력해도 예상 실수령액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사대보험 계산기’ 또는 ‘월급 계산기’를 검색하면 다양한 간편계산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분 만에 끝내는 모의계산 사용법

정확한 모의계산을 위해서는 몇 가지 정보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간편계산기는 아래 항목들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1. 연봉 또는 월급 입력: 계약 연봉 또는 월 급여액을 입력합니다.
  2. 비과세 항목 입력: 월급에 포함된 비과세 소득을 입력합니다. 대표적으로 식대(월 20만원 한도), 차량유지비(월 20만원 한도), 육아수당 등이 있으며, 비과세 소득은 세금과 보험료 산정에서 제외되어 절세 효과가 있습니다.
  3. 부양가족 수 입력: 본인을 포함한 부양가족 수와 20세 이하 자녀 수를 입력합니다. 부양가족 수에 따라 소득세 공제액이 달라지기 때문에 실수령액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정보들을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 각 항목별 공제액과 최종 월 예상 실수령액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연말정산을 반영하지 않은 금액이므로 실제 수령액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참고해야 합니다.

연봉별 예상 실수령액 비교표

내 연봉은 과연 월급으로 얼마를 받게 될까요? 아래 표는 비과세소득이 없고 부양가족이 본인 1명인 경우를 기준으로 계산한 연봉별 월 예상 실수령액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개인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확인해 보세요.



연봉 월급 (세전)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 (건강보험의 12.95%) 고용보험 (0.9%) 소득세/지방소득세 총 공제액 월 실수령액 (세후)
3,000만원 250만원 112,500원 88,620원 11,470원 22,500원 50,130원 285,220원 2,214,780원
4,000만원 333만원 149,850원 118,040원 15,280원 29,970원 132,670원 445,810원 2,884,190원
5,000만원 417만원 187,650원 147,810원 19,140원 37,530원 249,080원 641,210원 3,528,790원
6,000만원 500만원 225,000원 177,250원 22,950원 45,000원 389,910원 850,110원 4,149,890원
7,000만원 583만원 262,350원 206,680원 26,760원 52,470원 558,610원 1,106,870원 4,723,130원
8,000만원 667만원 265,500원 236,440원 30,610원 60,030원 761,960원 1,354,540원 5,315,460원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기준소득월액에 상한액과 하한액이 존재하여, 연봉이 매우 높거나 낮을 경우 위 요율과 다르게 계산될 수 있습니다.

나도 사대보험 가입 대상일까

사대보험은 정규직 직장인만 가입하는 것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사실 다양한 형태의 근로자들이 가입 대상에 포함됩니다. 고용 형태에 따라 가입 조건과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다양한 고용 형태와 사대보험

아르바이트, 일용직, 단시간 근로자라도 월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이상이거나 1개월 이상 계속 근로한다면 직장가입자로 의무 가입 대상이 됩니다. 다만, 초단시간 근로자 등 일부는 가입 제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한편, 회사에 소속되지 않은 프리랜서나 개인 사업자는 직장가입자가 아닌 지역가입자로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이 경우, 근로소득이 아닌 종합소득과 재산 등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산정되어 직장가입자와는 계산법이 다릅니다. 저소득 근로자와 사업주를 위해 사회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금 제도도 있으니, 조건에 해당한다면 꼭 신청하여 혜택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피부양자 자격 조건이 궁금해요

직장가입자의 소득에 의존하는 가족은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하여 별도의 보험료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득 및 재산 기준이 있어, 일정 금액 이상의 소득이나 재산이 있는 가족은 피부양자 자격을 상실하고 지역가입자로 전환될 수 있으니 공단에 자격 조건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퇴사 후 국민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퇴사하여 소득이 없어지면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계속해서 납입하여 가입 기간을 채우고 싶다면, 임의계속가입 제도를 통해 직장가입자 시절 내던 보험료 수준으로 계속 납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실업급여는 누구나 받을 수 있나요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자가 비자발적인 사유로 이직했을 때, 재취업 활동 기간 동안 소정의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수급을 위해서는 퇴사 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하는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