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보험 계산기, 1분 만에 내 월급 실수령액 알아보는 법



월급날만 손꼽아 기다렸는데, 막상 통장에 찍힌 금액을 보고 고개를 갸우뚱한 적 없으신가요? 계약서에 명시된 연봉을 12로 나눈 숫자와 실제 내 손에 들어오는 월급 실수령액이 다른 이유는 바로 ‘공제액’ 때문입니다. 월급명세서에 빼곡히 적힌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보기만 해도 머리가 지끈거리죠. 내가 번 돈인데 왜 이렇게 많이 떼어가는지, 이 계산법은 대체 누가 만들었는지 궁금하셨을 겁니다. 이런 고민을 1분 만에 해결해 줄 마법 같은 도구가 있습니다.

핵심만 콕! 3줄 요약

  • 사대보험 계산기는 내 연봉에서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공제액이 얼마인지 알려줍니다.
  • 연봉(또는 월급), 부양가족 수, 비과세액만 입력하면 1분 안에 예상 실수령액 확인이 가능합니다.
  • 복잡한 요율표나 계산법을 몰라도, 누구나 쉽게 내 월급을 모의계산 해볼 수 있습니다.

내 월급에서 사라지는 돈, 정체는 사대보험

우리가 매달 받는 월급에서 일정 금액이 빠져나가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사대보험’ 때문입니다. 사대보험은 국민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보험 제도로, 직장가입자라면 의무 가입 대상입니다. 이는 근로자 개인뿐만 아니라 사업주도 함께 부담금을 납부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구분 주요 내용 근로자 부담 요율 사업주 부담 요율
국민연금 노령, 장애, 사망 시 연금 지급 기준소득월액의 4.5% 기준소득월액의 4.5%
건강보험 질병, 부상 시 진료비 지원 보수월액의 3.545% 보수월액의 3.545%
장기요양보험 고령, 노인성 질병 시 돌봄 지원 (건강보험료에 포함) 건강보험료의 12.95% 건강보험료의 12.95%
고용보험 실업급여, 육아휴직 급여 등 지원 보수월액의 0.9% 1.15% ~ 1.75% (사업 규모에 따라 변동)
산재보험 업무상 재해 시 보상 없음 (전액 사업주 부담) 업종별 요율에 따라 상이

이처럼 각 보험마다 정해진 요율이 있고, 이 요율은 매년 변동될 수 있습니다. 특히 건강보험료가 인상되면 내 실수령액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죠. 이 모든 것을 직접 계산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우리는 간편계산기를 활용해야 합니다.



사대보험 계산기 100% 활용 가이드

정확한 모의계산을 위한 필수 입력 정보

사대보험 계산기의 정확도를 높이려면 몇 가지 정보를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포털 사이트에서 ‘사대보험 계산기’ 또는 ‘월급 계산기’를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 연봉 또는 월급: 계약서상의 연봉 총액이나 월 급여를 입력합니다. 상여금이 있다면 포함해서 계산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 비과세 소득: 식대, 차량유지비 등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월급명세서에서 비과세 항목을 확인하고 입력하면 공제액이 줄어들어 실수령액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 부양가족 수: 본인을 포함한 부양가족 수를 입력합니다. 이 숫자에 따라 근로소득세 공제 금액이 달라집니다.

이 정보들을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각 보험별 공제액과 소득세, 지방소득세를 제외한 최종 예상 실수령액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받는 것과도 연관이 깊으니, 미리 파악해두면 절세 계획을 세우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근로 형태에 따른 사대보험 이야기

아르바이트, 일용직도 가입해야 할까?

아르바이트나 일용직, 단시간 근로자라고 해서 사대보험의 예외는 아닙니다. 월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이상이거나 1개월 이상 계속 근로하는 경우 등 일정한 가입 조건을 충족하면 의무 가입 대상이 됩니다. 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국가에서 사회보험료 일부를 지원해주는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금’ 제도도 있으니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혜택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프리랜서와 사업자의 사정

직장인과 달리 프리랜서나 개인 사업자는 ‘지역가입자’로 분류됩니다. 이들은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을 지역가입자 자격으로 직접 납부해야 합니다. 지역가입자의 보험료는 근로소득이 아닌 종합소득과 보유 재산을 기준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직장가입자와는 계산법 자체가 다릅니다. 따라서 사업자는 본인의 소득과 재산 상황을 고려하여 보험료를 예측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꼭 알아둬야 할 사대보험 추가 정보

자격 변동 시에는 즉시 신고

새로운 직장에 입사하면 ‘자격 취득 신고’를, 퇴사하면 ‘자격 상실 신고’를 사업주가 공단에 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이 신고가 제때 이루어지지 않으면 보험료가 잘못 부과되거나 실업급여 수급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직이나 퇴직 시에는 자격상실신고서가 제대로 처리되었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잘못 낸 보험료는 돌려받자

월급 인상이나 변동 사항이 늦게 반영되어 보험료를 더 많이 냈다면 ‘과오납 환급’을 통해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보수총액이 올랐는데 신고가 늦어지면 다음 해에 정산하여 추가로 납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매년 진행되는 보수총액 신고와 중간정산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사대보험 계산기는 단순히 내 월급 실수령액을 확인하는 도구를 넘어, 나의 소중한 자산과 미래를 계획하는 첫걸음입니다.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공제 항목들을 계산기를 통해 명확히 이해하고, 더 나아가 나의 권리를 지키는 스마트한 경제 주체가 되어보시길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